항목 | 내용 |
---|---|
발생 시점 ⏰ | 2025년 3월 28일, 규모 7.7 |
피해 규모 😢 | 사망 1,644명, 부상 3,408명, 실종 139명 |
주요 지역 🗺️ | 만달레이, 네피도, 태국 방콕 |
국제 지원 🤝 | 군정의 해외 도움 요청, 유엔·미국·EU 등 대응 |
구호 단체 💙 | IRC, 대한적십자사, 유니세프 등 안내 |
2025년 3월 28일, 미얀마를 강타한 규모 7.7의 대지진은 113년 만에 찾아온 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되었습니다. 사가잉 단층선 근처에서 발생한 이 지진은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와 수도 네피도를 포함한 광범위한 지역을 파괴하며, 현재까지 사망자 1,644명, 부상자 3,408명, 실종자 139명을 낳았습니다(AFP통신 보도 기준). 하루 전인 27일,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 민 아웅 흘라잉은 사망자 144명이라고 밝혔으나, 단 하루 만에 피해 규모가 11배로 급증하며 재난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만달레이와 네피도의 참혹한 현장 😔
진앙과 가까운 만달레이는 가장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한 자원봉사 구조대원은 BBC에 “건물 잔해를 치울 중장비가 없어 맨손으로 사람들을 구하고 있다”며 “도와달라는 외침 속에서 희망이 사라지는 느낌”이라고 절망을 토로했습니다. 무너진 건물 아래 갇힌 이들이 많아 사망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달레이 종합병원은 부상자들로 넘쳐나며, 병원 건물마저 손상된 상태입니다. 밤이 되어도 여진을 두려워한 주민들은 길바닥에서 잠을 청했습니다.
수도 네피도에서도 상황은 다르지 않습니다. 공항 관제탑 붕괴로 항공 운항이 중단되고, 전기와 통신이 끊기며 구조 작업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한 구조대원은 “잔해 속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손쓸 방법이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재민들은 야외에서 응급 치료를 받으며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태국 방콕까지 닿은 여파 🚨
지진의 충격은 약 600마일(965km) 떨어진 태국 방콕에도 전해졌습니다. 방콕 짜뚜짝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고층건물이 붕괴하며 최소 6명이 사망했고, 70명 이상이 실종 상태입니다(AP통신). 병원 대피 중 한 임신부가 거리에서 출산하는 장면은 이번 재난의 비극을 상징합니다. 목격자 믹 오셰이는 “환자들을 휠체어와 들것으로 옮기다 장비가 모자라 맨손으로 끌어냈다”라고 전했습니다.
문화유산의 손실: 바간 불교 유적지 🏯
영국 가디언은 사가잉 단층선 근처 바간의 불교 유적지가 파괴됐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11세기에 세워진 2200여 개의 불탑과 사찰은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입니다. 정확한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곳의 붕괴는 미얀마의 역사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대응과 군정의 요청 🌐
미얀마 군정은 2021년 쿠데타 이후 국제 사회와 거리를 뒀지만, 이번 재난으로 입장을 바꿨습니다. 흘라잉 사령관은 “모든 국가와 조직의 도움을 받겠다”며 해외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끔찍한 일”이라며 지원 의사를 밝혔고, EU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코페르니쿠스 위성으로 구조 정보를 제공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유엔은 500만 달러(약 73억 원) 긴급 지원을 약속했고, 중국과 러시아는 구조대와 의료진을 파견했습니다.
그러나 우려도 있습니다. 국제앰네스티는 군정이 반군 지역에 지원을 차단할 가능성을 경고했고, 트럼프 행정부의 USAID 예산 삭감(5200만 달러, 약 760억 원)으로 인도적 공백이 생겼다고 지적했습니다. 구조 작업은 손상된 도로와 통신 두절로 더디게 진행 중입니다.
구호를 위한 국제단체 안내 💪
미얀마 대지진의 피해자를 돕는 국제 구호 단체는 언제나 필요합니다. 아래 단체들은 전 세계 위기 상황에서 활동하며, 우리의 작은 도움이 무너진 삶을 다시 세울 수 있습니다.
- 국제구조위원회 (IRC) 🌟
활동: 재난 및 분쟁 지역 생존자 지원.
웹사이트: https://www.rescue.org/ - 대한적십자사 ❤️
활동: 국내외 재난 구호 및 인도주의 활동.
웹사이트: https://www.redcross.or.kr/ - 유니세프 (UNICEF) 👶
활동: 어린이 보호 및 교육 지원.
웹사이트: https://www.unicef.or.kr/ - 국경없는의사회 (MSF) 🏥
활동: 의료 구호 활동.
웹사이트: https://msf.or.kr/ - 월드비전 🌍
활동: 빈곤 퇴치 및 아동 후원.
웹사이트: https://www.worldvision.or.kr/ - 세이브더칠드런 🧒
활동: 아동 권리 보호.
웹사이트: https://www.sc.or.kr/
기부 방법 💸
각 사이트의 ‘기부하기’ 메뉴에서 일시 후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재난은 멀리 있어도 연대는 가능합니다. 소셜 미디어로 정보를 공유하거나, 기부를 통해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미얀마 피해자와 전 세계 재난 피해자들에게 작은 희망이 전해지길 바랍니다. 희생자들의 명복과 생존자들의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 🌈
'율율이네 정보 나눔 > 금융&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제원 전 의원 갑작스러운 사망 (5) | 2025.04.01 |
---|---|
정신건강 관리 정부지원 및 식단관리 (3) | 2025.03.30 |
자각몽(Lucid Dreaming) 꿈을 알아채고 즐기는 신기한 경험 (2) | 2025.03.30 |
꿈과 심리학 무의식의 메세지를 해독하기 (1) | 2025.03.30 |
꿈속 죽음 해몽 (0) | 2025.03.29 |